본문 바로가기

협업/git

(20)
git bash 터미널 계정 변경 gitlab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었다. git bash에서 origin push하려다 보니 내 계정이라서 권한 문제가 생겼다. 내 계정에 root 권한을 주거나, git bash를 root 계정으로 바꾸던가 하려고 했는데.. https://meaownworld.tistory.com/78 github - git bash 터미널 계정 변경 팀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기존에 github에서 로그아웃하고 다른 계정으로 작업하고 싶은 일이 생길 것입니다. 전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허비했으므로 (....) 기록을 남깁니다. 그 때 작업을 하는 방법을 포스트.. meaownworld.tistory.com cmd로 하다보니 origin master에 push할때 로그인 팝업이 뜬다. 굳이 git bash 터미널 ..
Semantic Commit Messages 정리 feat: (new feature for the user, not a new feature for build script) fix: (bug fix for the user, not a fix to a build script) docs: (changes to the documentation) style: (formatting, missing semi colons, etc; no production code change) refactor: (refactoring production code, eg. renaming a variable) test: (adding missing tests, refactoring tests; no production code change) chore: (updating grunt..
GitLab 설치 후 502 GitLab is taking too much time to respond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33254100/502-whoops-gitlab-is-taking-too-much-time-to-respond 1. gitlab-ctl stop 2. vi /etc/gitlab/gitlab.rb 3. unicorn['port]=8081 혹은 안쓰는 포트로 지정 4. external_url 'http://서버주소:8000' (혹은 안쓰는 포트) 로 지정 5. gitlab-ctl reconfigure 6. gitlab-ctl start 7. netstat으로 unicorn 포트와 http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 8. gitlab 접속
GIT 설치 오류 ruby_block[supervise_redis_sleep] action run 우분투 16.04 환경에서. 위의 메세지가 나온 뒤 한참을 기다려도 아무런 반응이 없을 때. 여기서 한참이라 함은.. 내 경우엔 약 5분은 넘게 기다린 것 같다. 서버가 그리 나쁜 사양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만큼 기다렸는데 아무런 응답이 없다는건 이상신호로 봐야할터.. 검색을 해보았다. 그 결과 여러 시도를 해보았는데, 다음의 명령어가 결국은 해결책이 되었다. sudo /opt/gitlab/embedded/bin/runsvdir-start & 위의 명령을 입력할 때, 나 같은 경우는 새로운창을 새로 띄워서 기존에 hang이 걸린 ssh창을 그대로 두고 새 창으로 명령을 입력하여 기존 수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였지만, 당황한 나..